높은 예금 금리로 공격적인 수신 영업을 벌이던 인터넷은행들이 정작 걷은 예수금에 비해 대출 영업은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낮은 예대율로 효율적인 은행 영업이 어려워지면서 수익성에도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예대율은 예수금 대비 대출금 비율로 은행의 무분별한 대출 판매와 부실대출 위험을 막기 위해 도입된 지표입니다. 예대율이 100%를 초과하면 금융당국으로부터 대출 취급을 제한받게 됩니다. 시중은행은 수신 규모 내에서 효율적인 대출 영업을 하기 위해 90%대 후반의 예대율을 유지하고자 합니다. 100%를 초과하는 예대율도 문제지만 예대율이 60%대로 저조해도 문제가 됩니다. 예대율이 낮을수록 은행이 예수금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대출 영업이 부진해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6월 말 카카오뱅크의 예대율은 64.6%로, 지난해 같은 기간(81.5%)보다 16.7%p 하락했습니다. 8월 말 기준 예대율은 69%로 6월보다는 올랐으나 여전히 60%대의 저조한 수준을 나타냈습니다. 케이뱅크 역시 지난해 상반기에는 76.9%로
비교적 양호한 예대율을 유지했으나 올해 6월 말 60.4%로 급격히 하락했습니다. 인터넷은행의 저조한 예대율은 시중은행의 예대율 현황과 비교하면 더 두드러집니다. 상반기 기준 4대 시중은행(신한·KB국민·우리·KEB하나은행)의 예대율은 국민은행이 97.7%, 하나은행이 97.3%, 신한은행이 97%, 우리은행이 96.9% 순이었습니다. 모두 95%를 웃도는 예대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대출로 거둬들이는 이자 수익보다 고객에게 지급하는 예·적금 이자가 더 많아 은행의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금융권은 은행이 꾸준한 수익을 내기 위해선 적어도 80% 수준의 예대율을 유지해야 한다고 봅니다. 실제로 낮은 예대율은 올해 상반기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수익성에 걸림돌로 작용했습니다. 이같이 저조한 예대율의 배경에는 높은 예금금리로 공격적인 수신 영업을 벌이던 인터넷은행의 영업방식과, 수신에 집중된 카카오뱅크의 고객층, 대출 중단으로 여신을 늘리기 어려운 케이뱅크의 상황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